성씨 영어사인

2023. 8. 27. 01:48영어캘리

728x90
반응형

오랜만에 사인 포스팅해 봅니다. 

 

예전에는 한글사인 영어사인 신청받고

써 드린적도 있었는데

아이가 태어나고 커피숖 오픈준비가 겹쳐서

시간과 심리적 여유가 나질 않아 못하고 있습니다. 

 

그나마 이렇게 영상과 포스팅으로 관련해서 올리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사인 만들기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김 Kim 

한글의 영어스펠링은 그야말로 엉망입니다. 

지명이름 성과 이름의 스펠링이 엉망입니다. 

왜 바로 잡지 않는지도 의문입니다. 

 

아주 오랜시간에 걸쳐서 Cheju 가 Jeju로 되었고

Pusan 이 Busan 이 되었지만 

아직도 많은 이름들이 표기의 일관성이 없고

외국인이 보기에도 헷갈린게 많습니다. 

 

우리나라 성씨도 그렇습니다. 

하지만 이미 오피셜하게 올라가 버린 스펠링은

어쩔 수 없이 그대로 써야 합니다. 

 

발음이 '김' 인데도 불구하고 Kim 킴이라고 써요.

외국인들이 '김' 이라고 발음할 수 있는데도 

왜 아직도 킴이라고 할까요?

 

이 라고 발음할수 있고 표기할 수 있는데도

왜 리 Lee 라고 계속할까요? 

Yi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박은 어째서 공원의 의미인 팍 이 되었을까요?

그리고 박찬호는 Park을 쓰고 박세리는 왜 Pak을 쓸까요?

 

왜 최씨는 초이가 되어버렸을까요?

초이라고 써 놨으니까 외국에서 초이라고 읽는 건 당연합니다. 

 

 

정을 표기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 보시는 표기법이 '정'이 발음과는 맞습니다. 

정이 eong 가 된 배경에는 

아마 발음기호대로 적어서 그런것 같습니다. 

 

 

강씨 이지만 외국에서는 '캥'이라고 발음합니다. 

그렇게 적어놨기 때문입니다. 

 

조씨 이지만 초로 발음이 됩니다. 

아래 스펠링이 발음으로 보자면 맞습니다. 

우리네 인생처럼 스펠링도 엉망진창이죠?

 

쓰다 보니 이건 영어사인에 대한 설명보다는

스펠링에 대한 컴플레인을 쓰게 되었네요

컴플레인은 그만두고 사인에 대한 얘기를 해야겠어요

 

 

윤씨도 두 가지로 씁니다. 

 

 

 

장씨는 Chang이라고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임씨를 쓰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 

 

영상을 보면서 참고해보세요. 

 

영어싸인 만드는 데에 도움이 많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주말 잘 보내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