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자 c 이어쓰는 방법

2023. 8. 24. 13:02영어캘리

728x90
반응형

a , b 이어쓰기에 이어서 c 이어 쓰는 방법입니다. 

 

z까지 끝까지 같이 해보아요. 화이팅입니다!

 

 

일단 한 번에 보세요. 

 

전체적인 발란스를 맞추고 

글자 하나하나 맞추려면

하나씩 하나씩 쓰면서 

전체적인 그림을 봐야 합니다. 

 

하지만 처음에는 글씨 하나하나가

힘이 들이 때문에 처음부터 많이 욕심내지 마시고

글씨 하나하나에만 집중을 하시기 바랍니다. 

 

학교에서 직장 내에서 빨리 쓰는 

필기체가 아닙니다. 

 

그래서 일부러 모양을 내면서 써줘야 해요. 

그러니까 캘리그라피에 가까운 거죠. 

 

일상생활에서도 그렇게 쓰시는 분들은 있어요. 

 

요즘은 사실 필기를 손으로 빨리 하는 게 아니라

키보드로 하기 때문에 '필기'라는 개념이 점점 사라지죠

 

 

cc의 두 번째 c는 사실 스펜세리안의 정석입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그렇게 좋아하는 스타일이 아닙니다. 

좀 더 c처럼 모던하기 모양내주는걸 더 좋아합니다. 

 

d의 어센더는 6줄짜리로 하자만 b의 어센더처럼 길지 않습니다. 

저렇게 짧게 해 주는 게 d의 어센더의 길이입니다. 

 

겹치는 부분은 이해해 주세요. 

 

라인노트에서 예쁘게 쓰는 방법 중 하나는 

저렇게 선을 타지 않고 써주는 겁니다. 

f 나 j의 디센더 부분만 선을 타주고

나머지는 어떻게 보면 엑스하이트 안에 써줍니다. 

 

소문자필기체 k는 저렇게 생겼습니다. 

얼핏 보면 대문자 R처럼 보이기도 하죠?

헷갈리는 알파벳들은 따로 쓰고 읽고를 연습해 보세요. 

 

p와 q의 디센더는 j 나 y처럼 길지 않습니다. 

한번 길이를 다루는 포스팅을 해볼게요. 

 

필기체 r 모양내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연습을 많이 요하는 알파벳 중에 하나입니다. 

 

s는 안 번 더 겹쳐준다고 쓰면 됩니다. 

t의 크로스바는 어쩔 수 없이 이어 쓰지 못하고요

v의 마지막 부분은 꼭 저렇게 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읽힙니다. 

 

v 의 마지막처럼 w의 마지막도 

꼭 저렇게 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안 헷갈리기도 하고 잘 읽힙니다. 

x는 먼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주고

마지막 대각선을 아래서 위쪽으로 그어줍니다. 

(영상참조)

z 필기체는 저렇게 생겼습니다. 

대문자도 저렇게 생겼습니다. 

 

마지막으로 영상 올릴게요. 

이미지 보시고 안 되는 부분 있으면 

꼭 영상으로 보시면서 따라 써보세요. 

 

z 이어쓰기까지 같이 가즈아!

 

https://youtu.be/jbJac8YG1pQ?si=b8FPLHQQ2mwEkk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