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8. 21. 22:08ㆍ영어캘리
영어 대문자 정자체 쓰는 방법
안녕하십니까, 캘리그라퍼 거스입니다.
오늘은 영어 대문자 쓰는 방법을 준비했습니다.
순서도 정확히 표기했으니 따라 써 보세요.
A
1. 위에서 아래쪽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먼저 그어주세요.
2. 그리고 똑같이 오른쪽선을 그어주세요.
3. 그다음 가운데 선을 그어주세요.
보시는 바와 같이 영어 공책에 연습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선을 정확하게 타는 연습을 하시면 직선을 잘 쓰실 수 있습니다.
B
1. 위에서 아래로 그어주세요.
2. 첫 번째 반구 모양으로 긋습니다.
3. 그다음 나머지 반구를 써줍니다.
위의 반구가 아래의 반구보다 좀 작습니다.
그 부분 생각해주면서 적어주세요.
직선 긋기 연습을 하시려면
학교 다닐 때 오목을 두던 네모 노트에
선을 타면서 긋는 연습을 하면 효과 있습니다.
역시나 직선 연습은 어느 정도 연습을 하면 효과가 있는데
B처럼 반구 모양이 들어가는 알파벳이
모양이 잘 안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 역시 오목 노트에 연습하면 됩니다.
연습을 다 하시고 나면 본인 단점이 한눈에 보이기 때문에
그 후 단점 보완을 하면 연습하면 됩니다.
C
1. C 모양으로 위에서 아래로 한 번에 긋습니다.
C는 스트록 하나로 끝이 납니다.
많은 분들이 c , s , o와 같은 알파벳들이
은근히 어렵다고 합니다.
안 되는 알파벳만 따로 집중 연습하시고
너무 직선만 연습하는 것도
잘 안되는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항상 가이드라인 종이에 연습하는 것
잊지 마시고요.
D
1. B를 시작할 때처럼 위에서 아래로 선을 하나 긋습니다.
2. 그다음 나머지 모양을 한 번에 그어줍니다.
오늘 사용한 볼펜은 젤리롤 블랙 06입니다.
https://link.coupang.com/a/wdQhR
E
1. B와 D처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그어줍니다.
2. 그다음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그림과 같이 그어줍니다.
3. 중간에 있는 선이 다른 선보다 좀 짧습니다.
E를 쓸 때 정석은 보시는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서
차례로 긋지만 저는 때로는 윗선 와 아래선을 맞추기 위해
중간선을 제일 마지막에 긋는 경우도 있습니다.
F
1. B와 D처럼 위에서 아래로 긋습니다.
2. 위쪽 선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어주세요.
3. 나머지 선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어주세요.
가운에 선은 윗선보다 좀 짧습니다.
G
1. 위에서 아래로 G의 모습으로 그려주세요.
2. 그다음 아래로 그어주세요.
2번의 선을 그을 때는 선까지 그어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G 모양이 나와요.
물론 1로 끝낼 수도 있습니다.
한번 써보시고 마음에 드는 걸로 쓰세요.
하지만 G처럼 보여야 쉽게 읽힌다는 거 잊지 마시고요.
H
1.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어줍니다.
3. 1번과 똑같은 선을 그어줍니다.
이렇게 적는 게 정석이지만 전체적인 발란스를 위해
1번과 3번을 먼저 그어주고 나중에
2번을 긋는 경우도 있습니다.
I
1. B와 D처럼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끝
끝.
J
1.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어줍니다.
2. 낚싯바늘처럼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위의 선과 아래 낚싯바늘의 길이가 비슷한 걸 알 수 있습니다.
위에 선이 너무 짧거나 길면 어색해 보입니다.
K
1. B와 D처럼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2. 위에서 아래쪽으로 그어주고
3.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L
1.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마무리합니다.
스트록 하나로 그어줍니다.
물론 스트록을 두 번 줄 수도 있지만
오히려 모양이 이상해질 수도 있습니다.
M
1.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2. 마지막 M의 모양으로 마무리 지어줍니다.
M 은 두 번의 스트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각선 모양도 생각보다 쉽지가 않아
따로 연습해야 할 겁니다.
N
1.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2. N의 모양으로 그어주는데 아래로 갔다가
위에서 끝내줍니다.
O
1.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원을 그어줍니다.
생각보다 원을 그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알파벳 O는 유선형에 가깝습니다.
럭비공을 생각하면 될 것 같아요.
P
1.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2. B를 쓸 때와 같이 반구를 그려줍니다.
P는 B와 비슷하지만 아래쪽 반구의 크기와
비슷합니다. 지금까지 쓰면서 아시겠지만
같은 선과 방향을 발견했을 겁니다.
그렇게 패턴을 발견해나가는 것도
앎의 기쁨이라고 생각합니다.
필기체도 마찬가지입니다.
Q
1. O를 그려줄 때와 똑같습니다. 왼쪽에서 오른쪽
2. 이미지와 같은 모양으로 마무리
O에서 설명했다시피 생각보다 O 가
쓰기가 쉬운 건 아닙니다.
2번의 경우는 저런 모양일 수도 있고
그냥 대각선 모양일수도 있습니다.
그건 취향에 따라서 쓰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R
1. B , P처럼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2. P를 쓸 때와 똑같이 그려줍니다.
3. 직선은 아니지만 그림과 같은 모양을 내줍니다.
3번의 선의 경우 바로 대각선으로 해도 되지만
저선은 제 스타일인 것 같습니다.
S
1. 위에서 아래로 그려줍니다.
그야말로 S는 그려준다 라는 표현이 적절한데
S 같은 경우는 대문자나 소문자나 필기체나
다 똑같아서 쉽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모양내기가 여간 힘든 게 아닙니다.
그럴 땐 답이 없죠.
그냥 집중해서 연습하는 수밖에요...
T
1.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그어줍니다.
2. B , P를 시작할 때처럼 위에서 아래로 그어줍니다.
보시다시피 대문자는 직선 연습을 많이 하셔야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오목 노트에서
직선 긋는 연습을 많이 하시면 됩니다.
그게 제일 기초 중에 기초입니다.
U
1. 왼쪽 위에서 내려가면서 다시 올라가서 마무리
V
1. U를 쓸 때와 같은 방향입니다.
다만 대각선 두 개를 긋는다고 해서 씁니다.
W
1. 위에서 아래로 다시 위로 아래로를 반복
한 번의 스트록으로 써줍니다.
X
1. 왼쪽 대각선부터 써줍니다.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쪽으로
2.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쪽으로
엑스를 긋는다고 생각하면서 써줍니다.
Y
1. 중간까지만 오게 위에서 아래로 반 대각선을 그어줍니다.
2. 오른쪽에서 내려와서 직선으로 그어줍니다.
Z
1. 이미지와 같이 왼쪽 위에서 시작해서
오른쪽 아래에서 마무리합니다.
이렇게 대문자 쓰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봤습니다.
생각보다 직선 긋기가 쉬운 게 아닙니다.
우린 기계가 아니라서 정확하진 않겠지만
어느 정도는 직선 모양이 나와야
전체적으로 안정감 있고 정자체라 할 수 있습니다.
라인이나 블록으로 되어 있는
노트에서 연습하시기를 추천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아래는 영상입니다.
이미지도 보고 영상도 같이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그럼 즐거운 손글씨 하세요.
'영어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헐리우드 스타 영어이름 필기체 쓰기 (0) | 2022.09.02 |
---|---|
영어 필기체로 요일 이름 쓰는 법 (0) | 2022.08.31 |
너무 귀여운 고양이 알파벳 (0) | 2022.08.20 |
영어 필기체 배우기 - 1850년도부터 전해 내려오는 정통 미국 영어필기체 : 스펜세리안 (0) | 2022.08.17 |
당신이 꼭 알아야 할 영어단어 problem, group, good (0) | 2022.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