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캘리그라피와 일반 필기체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2021. 7. 23. 23:46영어캘리

728x90
반응형

캘리그라피라는 단어에 대한 정의와

주관적인 느낌이 각각 다릅니다. 

캘리그래피와 타이포그래피도 

경계가 애매모호한 느낌이 있죠.

 

하지만 우리가 쓰는 거의 모든 단어들은

생기기도 하고 없어지기도 하고

지역마다 다르기도 하기 때문에

자주 있는 일입니다. 

 

오늘은 캘리그라피와 일반 필기체 차이

정확히 짚어보겠습니다. 

 

다음 사전에서의 캘리그라피 정의입니다. 

4번 장식적 서법이 제일 와닿습니다. 

 

네이버 정의입니다. 

글씨나 글자를 아름답게 쓰는 기술

 

네이버 지식백과입니다. 

명확한 캘리그래피 정의가 마음에 드는데요

문제는 같이 올라간 사진입니다. 

네이버 백과사전에는 이런 이미지가 

올라와있는데요, 글쎄요 

제가 볼 때는 이건 그냥 손글씨입니다. 

 

글로 정의를 잘 표현했으나

이미지를 봤을 때 헷갈릴 수가 있습니다. 

 

공통적으로 나오는 정의는 

글씨나 글자를 아름답게 쓰는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겠는데요 

그래서 빨리 쓰는 필기의 그것 하고는 

차이가 많이 나 보입니다. 

 

여기 두 가지의 예가 있습니다. 

 

여러분은 1번과 2번 중

어떤 게 캘리그라피라고 생각하십니까?

 

물론 1번이라고 해도 제가 뭐라고 

할 사항은 아닙니다. 

다만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라는 것은

우리가 약속한 의미를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그렇게 따지면 2번이 캘리그라피 입니다.

 

유튜버 Happy Ever Crafter의 한 영상에서

아주 명확한 차이점을 설명해 줍니다.

https://youtu.be/nj962-cU2PQ

 

1번의 예는 그냥 필기체이고

2번은 캘리그라피 입니다. 

 

캘리그래피는 글자나 글씨를 

좀 더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이라고 했으니

빨리 쓰는 게 목적이 아닙니다. 

그러니 선 하나하나를 따로 써줍니다.

일정한 선, 그리고 각도가 나와주어야

아름답게 보이기 때문이죠.

이게 바로 캘리그라피입니다. 

 

아래 영상을 보시면 선 하나하나 

끊어서 글자를 완성하는 게 보일 겁니다.

바로 이렇게 쓰는 게 빨리 쓰는 필기체와

캘리그라피의 차이점입니다. 

 

물론 빨리 쓰면서 캘리그라피의 느낌을

주는 캘리그라퍼들도 있습니다. 

어떤 분야던 규칙과 이론이 있고

그걸 깨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https://youtu.be/HodpxInF2q4

 

오늘은 오랫동안 애매모호했던

일반 글쓰기와 캘리그라피의

경계를 설명해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손글씨~

 

728x90
반응형